독일의 학위제도

(Study Degree System in Germany)


- 김 재 긍 (J. G. Kim) / 재독한국과학기술자협회 자문위원회 -
- VeKNI Conference on 20-22. Oct. 2017 -
                       


지난 2000년대  초반 이후  독일의 전통적인 독자적 학위제도가 „볼로냐 프로세스”의 새로운 학위제도로 변경되어 일부 혼동되는 경향들이 있으므로 최근 조사된 독일 학위과정에 대해 재독한국과협 회원여러분들에게 참고로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소개된 내용 중에서 일부 더 상세한 구체적 설명 보충이 요망되는 점들이 있더라도 양해하여 주시기를 바라며, 여러분들에게 다소 도움이 될 수 있는 참고자료가 되길 기대하겠습니다.

 

서 론

독일은 다른 유럽국가 및 기타국가들과 달리 예를 들어, 전통적인 디플롬(Diploma)과 마기스터(Magister)와 같은 독자적 학위제도가 2000년대 초반까지 실행되었습니다. 그러나 상호 유럽 국가들의 고등교육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1999년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유럽 국가들이 참가하여 „볼로냐 프로세스”의 궁극적인 취지를 실현시키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즉 유럽고등교육 개혁인 볼로냐프로세스 (Bologna Process) 1)  합의 이후 다른 유럽 국가들 시스템과 비교 가능한 학제인 학사(Bachelor)/ 석사(Master)/ 박사(Doctor/PhD) 학위과정이 실행되고 있습니다. 예외적으로 의학과와 법학과 등의 일부학과는 여전히 전통적인 학제가  고수되고 있는 경향도 있습니다. 이와 같이 볼로냐프로세스의 상징인 바첼로 학사학위 및 마스터 석사학위를 취득하기 위한 기본 제도방향, 특유조건 및 소요학기기간 등이 간략하게 언급되었으며, 이어서 박사학위과정 수행을 위한 첫 단계를 착수하는데 필히 갖추어 져야 할 제반 주요착안점들과 박사학위 최종수료단계에서 필수적으로 통과되어야 할 제반 주요사항들에 대해 요약 소개 되었습니다.   

 


 

 

1. 학사 (Bachelor):

바첼로 학사학위는 대학에서 과학 및 직업자격이 인정 수여되는 학습수료의 학위로서 최종 바첼로논문 (Bachelor Arbeit)이 통과되어야 합니다.  학사(Bachelor) 학위증을 취득하기 위해 대부분 6 - 8 학기가 요구되며(Fig. 1) 독일에서 인기적인 바첼로학위는 다음과 같습니다:[3]:
            · B.A. (Bachelor of Arts)
            · B.Sc. (Bachelor of Science)
            · B.Eng. (Bachelor of Engineering)  etc.                (A-Table 1 참조)
독일의 전통적 학위제도인 디플롬과 마기스터 학위제도가 볼로냐 프로세스 목적인 바첼로, 마스터 시스템으로 2010 년까지 거의 대체되었으며, 바첼로 학사학위를 수여받기 위해서는 6-8학기의 학습기간이 요구됩니다. 또한 유럽 내 대학과정에서 인정되는 소의 “유럽 신용학점시스템(ECTS)”은 매학기별 30신용점수 (credit points)로서 6-8학기기간의 필수점수는 180-240 ECTS (European-Credit-Transfer-System) 입니다(Fig. 1).

 

 

 

2. 석사 (Master):

마스터 석사과정은 대학의 바첼로 학사학위 다음 더 높은 단계의 과학적 최종논문(Master Arbeit)이 통과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마스터자격 종류가 있습니다:[6]:


첫째,  바첼로 학사학위 기반의 연속 마스터 
            / Consecutive Master (builds contend on the BA- degree)/
둘째, 적어도 1년이상의 경험이 구비된  상급마스터
            / Advanced Master (including at least one year of professional experience)/
셋째, 응용 및 실험에 초점을 둔 응용 지향 중심 마스터 
            / Application-oriented master (puts the focus on practice)/
넷째, 새로운 주제영역을 탐구한 연구중심 마스터 
            / Research-oriented Master (explores new subject areas)/ 등이 있습니다.


 이상 언급된 바와 같이 다양한 마스터 학위과정이 있지만 특유한 요구조건들이 구비되어야 합니다. 즉 마스터학위과정을 위한  입학시험, 해당과목의 실습 또는 양호한 수료/학점 점수가 전제됩니다.  정상적인 석사과정 학습기간은 2- 4학기가 소요되며(Fig. 1), 최종 과학적 전문논문 제출과 1/2개 전공과목의 구두시험에 합격되어야 합니다.여하튼 바첼로 학사과정후  2-4학기의 마스터석사 과정에서 60 – 120 ECTS 의 신용학점이 추가적으로 보강되어야 합니다. 또한 마스터 학위취득자는 박사학위 연구자(Doctor edge/ Doktorrand) 지원자격이 됩니다[4]. 

 

➤ 국가고시 (State examination)

 

독일의 대학과정은 각 대학별로 대부분 연구 및 응용 측면에  중점을 둔 학사  또는 석사 자격 수여제도의 전문학과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외  특정 분야인 법학, 의학, 교육/사범대학 또는 제약학과등은 국가고시제도인 즉 국가가 관장하여 실시되는 자격증취득 시험제도를 취하고 있습니다. 한편 여러 연방주에서 이미 바첼로 및 마스터자격졸업제도로 변경되었으며 다만 일부 주에서만 국가고시제의 교육학과정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국가고시제도는  1차 및 2차 국가고시 시험과 몇 년 동안 실 습자(clerkship/referandar)로서 다소 많은 실무과정의 기간들이 요구되지만 성과적으로 모두 합격될 경우 안전한 직업이 보장됩니다.[6].

 

➤ 디플롬 (Diploma / Diplom): 

 

독일에서 지난 2000년대 초반까지 바첼로 및 마스터학위과정이 실행되기 이전에 는 가장 많이 수여되었던 석사학위 디플롬 (Diplom)은 자연과학, 공학, 경제학 및 사회과학 등을 이수한 자들에게 수여되었던 독일의 전통학위이었습니다(Fig. 1).
예를 들어,  장기 전문과정 석사/엔지니어 학위명칭은 Dipl.-Ing. 이며, 학업기간은 10-14학기로서 대부분 장기간이 요구되었습니다. 한편 단기 전문과정 엔지니어 학위취득자 명칭에는“FH“ (Fachhochschule: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를 추가표시 해야 하며, 학업기간은 약 8학기가 요구되었으며 이와 같은 단기과정 엔지니어가 박사학위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인정받을 수 있는 몇 학기를 더 보강해야 되었습니다.     
 
 
Fig1.png

Fig. 1: Combinations of regular studies for consecutive and traditional courses in Germany

 

3. 박사 (Doctor /Dr. /PhD):

독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기 위하여 근본적으로 전통 제도인 „개별적 학위과정(individual promotion)”과 새로운 제도인 “체계적 학위과정(structured Promotion)”의 두 가지 방향으로 구분됩니다. 


A. 개별적 학위 과정(individual promotion)
전통 박사학위과정제도로써 대학 교수의 지도하에 연구프로젝트를 자신이 스스로 완수해야 되는 독일에서 대부분 선택하는  박사학위과정 모델입니다. 우선 대학지도교수를 찾기 위해서는 자신의 우수한 석사과정 성적이 유리한 기반조건이 되겠으며, 아울러 지도교수 대학의 소속 연구기관 상태가 자신이 지원할 연구논문주제의 적합성이 이차 추가 요구조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지도교수대학 외에 관련된 파트너의 연구원 또는 산업계에서 연구추진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여하튼 박사논문의 효율적인 완성을 위해서는 지도교수의 역량 하에 능동적인 연구추진이 이루어져야  됩니다. 박사학위 취득하기까지의 소요기간은 자신의 집중적인 노력이 핵심요인이 되겠지만 이외에 박사연구논문과 직결되는 연구프로젝트기간 및 연구 장학금기간 등이 주요요인들이 되겠습니다(Fig. 2).
 
B. 체계적 학위과정 (Structured promotion) 
새로운 박사학위과정제도로써 지도교수 한명의 집중적 지도를 받는 전통적 기존의 개별적 학위과정과 달리 여러 교수들로부터 다른 박사과정 학생들과 공동 연구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되는  팀워크 및 실무경험을 우선하는 박사학위과정제도입니다. 개인적으로 구상한 연구논문주제가 해당 프로모션 프로그램과 적합해야 공동프로그램에 참가가 가능한 단점과 지정된 공동프로그램 기간 내에 프로젝트과정을 성공적으로  완성하기 위하여 집중적인 많은 노력이 요구됩니다. 이와 같은 학위과정프로그램에 정상적으로 적중이 될 경우 전통제도인 개별적 학위과정에 비해 학위취득을 위한 4-5 년의 연구연한 수 보다  약 1년 정도 단축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Fig. 2). 
 

Fig2.png

     Fig. 2: Ways of promotion in Germany

 

 

 

 

3.1 박사학위과정 수행자격의 첫 단계 주요사항 [9] 

     · 전제조건과 가능성
     · 박사학위논문주제 고안확정  
     · 적격한 지도교수 선택
     · 박사학위과정기간의 재정적 대비대책 
     · 박사학위과정등록                  
 
1)전제조건과 가능성
우선 박사과정수행후보자의 중요한 전제조건은 평균이상의 우수한 마스터/석사학위취득 및 국가고시합격자 수준이며, 자신이 확정한 주제전문학에 대한 열정적 자신감과 확고한 집중력으로 목표주제논문의 최종 완성이 가능한 능력자입니다. 대부분의 대학교 학부(Faculty of the University)별로 앞에서 언급된 개별적 또는 체계적 학위과정 수행에 요구되는 박사학위과정프로그램(Doctor edge programs)들이 공개적으로 제공됩니다. 즉, 각 학부별 박사학위과정수행 규정에 따른 자신의 주제논문작성 요령등과 박사학위과정수행 을 승낙받기 위해 어떠한 수료증이 제시되어야 하는 점이 확고히 제시되어 있습니다.
 
2) 박사학위논문주제 고안확정  
박사학위논문주제의 결정에 앞서서 우선 경험이 있는 박사학위과정 선배들 또는 지도교수 (독터파터/독터무터)와 직접 의논한 연후 결정하는 점을 권유하고 싶습니다. 한편 박사학위과정 진행 중 박사과정수행자(Doktorrand / -in) 자신은 물론 지도교수 측에서도 당초 처음 고안하였던 박사논문주제보다 더욱 적합하고 확고한 연구 방향선이 감지되어 박사논문주제를 변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추가적으로 반드시 주의해야 될 점은 박사논문주제의 최종결정이전에 전 세계적으로 유사한 주제에 관한 연구깊이와 제 3자들의 박사학위 발표논문들에 대한 세밀한 조사입니다. 즉 자신이 치중할 박사논문의 연구주제는 근본적으로 공개된 다른 논문들과 변별성을 지니고 있는 독창적인 것이어야 합니다. 
 
3) 적격한 지도교수 선택
박사과정 지원을 위하여 무엇보다 먼저 지도교수의 승낙서를 받아야 하며, 박사과정수행 후보자의 상황위치에 따라 기본준비방향이 다소 상이함을 참고하길 바랍니다. 즉 대상 지도교수의 대학이 박사과정지원자의 모교, 타교 또는 외국대학일 경우에 따라 선택방법이 상이 합니다. 일반적으로 지도교수선택은 박사학위과정 후보자 자신의 관심범위 내에 적합성이 우선이며, 예를 들어 학사 또는 석사학위를 수여받은 모교일 경우 이미 학과학습지도 또는 석사논문을 직접 지도한 교수로서 자신이 적격성을 감지하여 지도교수 승낙을 청구할 경우가 가장 이상적이라고 봅니다. 이외 독일 내 다른 대학소속 또는 외국대학 소속의 후보자일 경우 웹 사이트를 통한 해당 전공학과 분야의 유명교수님들의 조사 작업과 또는 이미 박사학위과정을 수행하고 있는 선배들의 자문을 청구하는 점을 권유합니다. 아울러 선택대상 지도교수와 학문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가능한 신뢰적인 밀접한 상호 인가관계가 이루어 져야 하며 이는 무엇보다 주어진 연구과제에 대한 박사학위과정 수행자의 꾸준한 집중노력 능력과 성실성이 중요한 기본요소라고 봅니다. 


4) 박사학위과정기간의 재정적 대비대책 
지도교수하의 계약 과학직원(Scientific staff / Wissenschaftliche Mitarbeiter)으로서 조교역할과 동시에 박사연구를 하는 특이한 경우가 있으며, 지도교수가 추진하고 있는 연구프로젝트 진행 기간 동안 과학직원으로 종사하며 박사연구를 수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대학 외에 연구원 소속 지도교수의 연구원으로서 종사하며 박사학위를 수행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인정해 줄 수 있는 담당지도교수의 공동파트너대학이 갖추어 져야 합니다. 이외에 지도교수 소속대학, 연구원 또는 DFG Project 분야와 전혀 관련 없이 박사학위수행자에게 제공되는 장학금제도가 있습니다. 그러나 장학금신청시에 지도교수님의 지도승낙서가 구비되어 있어야 하며, 항상 지도교수와 긴밀한 관계유지 하에 상의하면서 재정적 대비책 및 논문작성 등을 추진할 것을 권유 드립니다. 대부분의 대학교에서 소위 과학캐리어 주제(on the subject scientific career) 하에 장학생 또는 박사학위과정 연구원들에게 주요정보를 제공해주고 있음을 참고 드립니다.
 
재정조달정보가능 (Information for funding opportunities) [8]:
➣ www.dfg.de/wissebschaftliche_karriere
➣ www.dfg.de/foederung/fag,          DFG: Deutsche Forschungsgemeinschaft e. V. 
➣ www.daad.de/deutschland/stipendium/datenbank/de/21148-stipendiendatenbank/
➣ www.stiftungen.org/de/service/stifungssuche/studienforderung/bundesweite- stiftungen_html
➣ For foreign countries: www.daad.de  
➣ Information on EU funding: www.kowi.de       
➣ Information on European funding: www.euraxess.de    

  

5) 박사학위과정등록
박사학위과정수행자(Doktorrand / -in)는 소속대학학부의 박사과정(PhD program) 등록을 할 수 있으며, 대부분 독일 대학교별로 박사과정 등록신청자들을 위해 일정한 수속 양식에 의거하여  신청할 수 있는 안내 서비스센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박사학위과정등록신청 안내내용들을 독일파더본대학 서비스센터에서 다음과 같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박사학위과정 등록 안내 (Instructions for enrollment in a doctorate course) [9]: 
박사과정등록신청자가 동일한 대학에서 계속 박사학위과정을 수행할 경우 또는 타 대학 졸업자의 경우 필요한 구비서류 등의 착안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a) 동일한 대학 졸업자의 박사학위과정등록 
      - 박사과정을 위한 변경등록신청서 (Application for a transcript for a doctorate course)
      - 소속대학학부의 박사과정 허가증명서 (Certificate of admission to a faculty's doctoral program)
       - 대학졸업 /최종학위 증명서 사본 또는  담당시험사무국의 졸업시험합격 확인서 등.
 
      *타 대학졸업자로서 만약, 이전에 동일한 대학에서 일부 학기를 방문하였던 지원자는 당시 
        학습기간 등록번호가 다시 유효되며 신청구비서류는 위와 동등함.
 
b) 타대학 졸업자의 박사학위과정등록
      - 박사과정 등록신청서 ( Application for the enrollment of the doctoral course)         
      - 소속대학학부의 박사과정 허가증명서 (Certificate of admission to a faculty's doctoral program) 
       * 추가 구비서류: 대학졸업/최종학위증명서 사본 ( 추정, 정보없음)  
 
c) 외국대학졸업자 (비독일국적)의 박사학위등록
     독일국적이 아닌 외국학생일 경우 다음과 같은 대학내 국제담당사무실에서 박사과정 등록처리를 위임하여 편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대학 국제담당사무실(International Office / Akademisches Auslandsamt of the University) 
      

 

3.2 박사학위 수료 (Completion of the doctorate)
박사학위후보자가 계획한 연구기간이 성과적으로 종료되면 소속 학부에 학위후보자 자신이 작성한 학위논문집을 의무적으로 제출해야 될 뿐더러 동시에 시험허가를 신청해야 됩니다. 독일에서 박사학위과정 최종단계에서 학위 수료를 위한 제반절차와 실행내용은 각 대학교별 또는 대학 내의 전문학부별로 다소 상이한 점들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대부분 통용되는 주요 절차단계를 요약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9]:


    • 박사학위논문 제출 및 심사, 
    • 구두시험 및 평가, 
    • 박사학위논문 공개발표 등의 절차가 실행됩니다.

 

이와 같은 박사학위수료의 최종프로세스는 학위후보자 소속학부의 엄격한 프로모숀규정(promotion order) 하에 이루어 지며 학위후보자는 자신에게 주어질 기대에 부응하기위해 사전에 학위과정 최종절차단계에서 적용될 프로모숀규정을 가능한 확고하게 예비지식습득에 치중해야 됩니다.  


a) 박사학위 논문제출 및 심사
박사학위규제에 의거하여 박사학위논문내용이 반드시 학위후보자 자신이 작성해야 되며 작성 완성된 논문을  적어도  2인의 각 박사학위심사위원에게 제출되어야 합니다. 심사위원 중 1인은 소속 학부의 교수이며, 이외 1인 심사위원은 학위후보자의 독터파터/ -무터가 가능합니다. 또한 박사학위후보자 자신이 전문적으로 적격한 더 이상의 심사위원을 시험위원회에 제안할 수 있습니다. 제출된 논문이 각 심사위원별로 심사검정에서 통과되면 학위시험 위원회로부터 구두시험일정을 통고받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박사학위시험위원회는 시험위원회 위원장, 논문심사검정위원, 독터파터/-무터 등의 교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박사학위후보자의 논문심사, 시험허가, 시험심사위원회 구성, 심험허가 및 평가등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10].

 

b) 구두시험 및 평가
구두시험의 절차는 우선 학위후보자가 작성한 논문내용에 대해 정해진 시간내에 (약 30분) 발표강연후 이어서 시험위원회로 부터 소위 „리고로쥼( Rigorosum) 및 디스퓨테이션 (Disputation)“ 제도의 구두시험이 실행됩니다. 즉  학위논문의 실제전문분야뿐만 아니라 논문내용의 인근 부속전문분야까지 확장한 질의 응답을 하게 되는 구두시험제도로써 자신이 작성한 논문내용결과가 과연 과학적 맥락수준에서 자신 있게 공개적으로 방어 및 제기될 수 있다는 점을 투철하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하며, 추가적으로 발표논문주제와  관련된 인근 부속학과분야에도 탁월한 지식이 갖추어 졌음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질의 및 응답의 구두시험 시간이 약 1시간정도 소요됩니다[12].
이상 언급한 바의 엄격한 구두시험에 합격이 되면 일단 박사학위합격증을 수여받게 됩니다만 정상적인 박사학위타이틀의 공개인정은 최종적으로 박사학위논문이 학위규정에 의한  공개발표가 확증되어야 합니다.  또한 박사학위논문내용의 강연발표상태 및 구두시험성과에 대한 종합 평가점수가 시험위원회로 부터 최종결정되며 통상적으로 독일에서 실행되고 있는 학위평가점수제도는 부록 표 (A-Table 2)와 같습니다. 한편, 최종 학위평가점수는 차후 학위취득자의 전문 직업지원 또는 사회캐리어에 기반역할 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독일에서 통용되고 있는 박사학위평가점수제도에 대해 착안해 둘 필요성이 있다고 봅니다. 

 

c) 박사학위논문 공개발표
박사학위논문 게재는 학위후보자의 필수적인 의무로서 성과적인 학위논문제출 및 심사와 구두시험통과후 전문출판사 또는 소속대학도서관의 서비스 발행소를 통해 박사학위 논문내용이 책자 또는 전자형식으로 발행 공개되어야 합니다. 발간비용을 충당하기위해 일부 스폰서에게 보조금을 신청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쇄보조금스폰서”를 대학 내의 전자연구자금 지원정보서비스센터 (ELFI-electronic research information)에 신청 할 수 있습니다[9]. 일반적으로 박사후보자는 소속 대학도서관에 프로모션 규정 제시에 따라 일정한 책자사본 부수를 제공해야 되며, 동시에 도서관에서 수령된 책자사본이 공개게재의 증거로서 유효 됩니다[11].

 

 

 


부 록 (Appendix):

A-Table 1: Academic degrees in Germany (selected)
   

App1.png

 


A-Table 2: Comparison of the grades for the evaluation of the dissertation in Germany
 

App2.png

 

 

 

 

 

 

참고문헌 (References):

[1] KMK-Kultusminister Konferenz: Internationale Hochschulangelegenheiten  „Der Bolgona-Prozess“
     Hsg.: Sekretariat der Ständigen Konferenz der Kultusminister der Länder i.d. BRD
[2]  Konferenz der Kultusminister der Länder: 10 Thesen zur Bachelor- und Masterstruktur
       - Beschluss vom KMK / Decision of the Ministers of culture on 12 June 2003
[3] Mott, B./ Bachelor Print: Das Bachelorstudium – Dauer, Abschlüsse, Wichtiges Infos
[4] WIKIPEDIA: Master-Wikipedia, Akademischer Grad,  Stand: 3. Sept. 2017
[5] Studis online: Studies graduations / Academic degrees (Studienabschlüsse /Akademische Grade)
[6] Nach dem Abitur.de: Stdudies graduations in Germany (Studienabschlüsse in Deutschland)
[7] Lannert, V. / DAAD: Ways of promotion in Germany / Wege zur Promotion
               www.research-in-germany.org/promotion-individuell
               www.research-in-Germany.org/promotion-strukturiert
                DAAD-Deutscher Akademischer Austauschdienst (German Academic Exchange Service)

[8] DFG: DFG-finanzierte Promotion – praktische Fragen und Antworten
               - Information of the team Promoting young researchers of the German Research Association
                 DFG-Deutsche Forschungsgemeinschaft (German Research Foundation)
[9] University of Paderborn: Promotion – erste Schritte,  www.zv.uni-paderborn.de   

[10] Hochschulkompass(hsk): Promotion; Zulassung zur Prüfung-Eröffnung des Promotionsverfahrens 
[11] Doktorrandenforum.de: Die Noten für die Doktoraebeit, Stand: Aug. 2013
[12] disserta Verlag: Dissertation – ein Überblick,   www.disserta-verlag.de

 

 


* 추가 주의사항 안내
이상 본문은 다만 재독한국과학기술자협회 회원들에게 제공되는 소개 자료임을 참고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각주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볼로냐프로세스 (Bologna Process) [1]:
1999년 6월 19일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유럽 30개국의 교육부 장관들이 유럽 국가들의 상호비교 및 학술교류가 가능한 일관된 유럽고등교육지역(EHEA-European Higher Education Area)을 창설하기 위해 공동선언문에 서명하였음.  이와 같은 볼로냐프로세스를 통해 유럽 내 학생 또는 졸업생 그리고 대학교수간에 제한 없이 이동성을 증진시키게 되었으며 동시에 유럽의 고등교육 환경을 개혁하는 포괄적인 과정계기가 시작되었음.   

➢볼로냐 프로세스의 핵심목표:
- 학과성적 및 학위등급에 대한 상호인정
- 바첼로 / 마스터 학위등급을 통한 학위의 투명성과 상호비교가능성
- 유럽 고등교육수준의 질적 보장을 위한 상호협력
- 고등교육학위 취득을 위한 유럽신용학점시스템(ECTS-European Credit Transfer System),
  학위 인증서보충(Diploma Supplement) 및  균일한 자격체계와 같은 투명성제도 실행.

 


List of Articles
날짜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018.10.09 [칼럼] 번역 - EU의 폐기물 관리 접근법 (Being wise with waste: the EU’s approach to waste management) file 김민재_편집간사 12053
2018.09.14 [칼럼] 빛은 무엇인가? (1) - 빛의 본질에 관하여 file 김민재_편집간사 51793
2018.09.04 재독 한인 과학기술자의 독일내 취업여건 설문결과 (주 본분관 시행) file 관리자 1915
2018.08.19 [칼럼] 광전기화학전지를 이용한 수소 생산 - (2) 대표적인 광양극 재료, α-Fe2O3 (Hematite) file 김민재_편집간사 1688
2018.06.04 [독일생활] 독일의 회색하늘과 우울증 file 김민재_편집간사 2422
2018.01.30 [칼럼] 별자리와 그들의 전설에 관하여 file 김민재_편집간사 9135
2018.01.25 [박사후] 독일 연구협회 (DFG) 독일외 해외 포닥을 위한 Fellowship program 소개 file 김민재_편집간사 3281
2017.11.01 [독일생활] 독일의 학위제도 (Study Degree System in Germany) file 김민재_편집간사 11904
2017.10.12 [박사] 독일 석박사과정 근로계약 사례 조사 file 41339 1377
2017.10.01 [칼럼] 별의 일생 file 편집간사 11074
2017.09.29 [칼럼] 별들의 후손 file 편집간사 1368
2017.09.08 [칼럼] 슈트트가르트의 도시 미기상을 고려한 도시계획 file 편집간사 1222
2017.08.16 [칼럼] 수퍼컴퓨터와 Big Data 를 위한 하드웨어의 발전 방향 file 편집간사 6080
2017.08.14 [칼럼] 광전기화학전지를 이용한 수소 생산 / (1) 원리와 장치 file 편집간사 756
2017.08.13 [칼럼] 우리 태양계로의 여행 file 편집간사 924
2017.08.13 [칼럼] 46억년전으로의 여행 file 편집간사 645
2017.06.06 [연구정보] CJ Grants Program 제안요청서(RFP) 공고 file 관리자 704
2017.06.06 [연구정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국제공동연구과제 제안 공고 file 관리자 513
2017.05.24 [칼럼] 외계 행성으로의 여행 file 편집간사 416
2017.05.03 [석사] Technische Universität Clausthal 석사과정 지원에 관하여 file 편집간사 9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CLOSE